12일 여권에 따르면 정 전 대표와 김 지사는 11일 저녁 서울시내 모처에서 만찬 회동을 갖고 ‘복지 포퓰리즘’ 논란과 한나라당 쇄신, 국가정체성 확립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친이(친이명박)계로 분류되는 이들의 회동은 당내 역학구도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다. 한나라당은 최근 당내 장악력이 소장·친박(친박근혜)계로 전환되자 친이계 좌장인 이재오 특임장관의 정치복귀를 예고하면서 구주류로 밀린 친이계와 신주류(소장·친박)간 전면전이 예고되는 국면을 맞고 있다.
실제로 정 전 대표와 김 지사는 그동안 정치권의 ‘복지 포퓰리즘’ 비판과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 견제 등 정치 현안에 대해 같은 목소리를 내왔다.
앞서 정 전 대표는 지난 5월19일 경기도청에서 특강을 통해 “김 지사와 나는 걸어온 길은 다르지만 선진국을 만들고 남북통일에 대한 염원과 생각이 같다”며 김 지사와의 협력의사를 밝힌 바 있다.
정 전 대표측 관계자는 “김 지사와는 외교안보 정책과 국가 정체성 문제 등에 상당한 교감이 있다”며 “복지 포퓰리즘과 국가 정체성 문제 등에 공조를 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지사와 가까운 차명진 의원도 “두 사람이 전략적 차원에서 연대를 하는 게 아니고 차기 대선을 앞두고 이념과 정책에서 교집합이 커 자연스러운 연대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