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추진사업들 줄줄이 무산 위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8-21 22: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은영 기자)인천시가 추진해 왔던 각종 사업들이 줄줄이 무산위기를 맞고 있다.

최근 인천 지역사회의 최대 쟁점으로 부각된 송도 영리병원 추진이 사실상 좌절됐다.

의원 입법 형태로 추진해왔던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외국 영리병원 설립을 촉진하기 위한 법안이 철회됐기 때문이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한나라당 이명규 의원은‘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안’을 철회하겠다는 요구서를 지난 12일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

철회 요구서가 제출된 개정안은 경제자유구역에 외국병원 운영의 세부 근거를 마련하고 일부 특례를 허용, 병원 설립을 촉진한다는 취지에서 지난해 9월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중심이 돼 발의했다.

이번 법안 철회로 구체적인 설립 요건이나 절차가 마련되지 않아 사실상 영리병원 유치가 어렵게 됐다.

청운대 도화캠퍼스 유치도 물건너 가고 있다.

인천 도화지구내 옛 인천대의 가격 등을 놓고 청운대와 인천시, 인천도시개발공사가 계속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와 청운대의 협상에 가장 큰 장벽은 건물 및 부지가격에 대한 600억~1700억원에 달하는 입장차다. 청운대는 건물 및 부지 7만4317㎡의 가격으로 677억원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시와 인천도개공은 청운대가 주장하는 가격에 수 배에 달하는 조성원가 2368억원이나 2009년 기준 건물 및 부지 감정가 1245억원을 주장하고 있다.

시가 청운대와의 협상에 회의론을 나타내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청운대가 제2캠퍼스를 조성할 능력이 없다는 내부 판단 때문이다.

인천 검단신도시에 들어설 예정이던 중앙대 캠퍼스 조성 사업도 무산될 위기다.

인천시와 중앙대가 캠퍼스 건립비 2000억원 지원 여부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검단신도시 공동시행사인 인천도시개발공사와 LH가 막대한 부채로 대대적인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 데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사업성이 급격히 나빠지면서 검단신도시 조성계획 전체가 차질을 빚고 있다.

이용재 중앙대 신캠퍼스추진단장은 “학교의 재정여건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캠퍼스 건립비 2000억원 지원 등 인천시가 애초 양해각서(MOU)에서 합의한 지원조건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사업을 추진할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이밖에 고려대의 인천 송도캠퍼스 조성도 물거품이 되버렸다. 송도국제도시 8만3,000㎡ 부지에 바이오 캠퍼스를 세울 계획이었던 고려대는 지난 5월 캠퍼스 조성을 포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