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수능> 출제위원들 ‘창살없는 감옥’서 해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10 08: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10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면 69만여명의 수험생들과 함께 출제위원들도 한달여의 긴 ‘감금’ 생활에서 ‘해방’된다.

수능 당일에는 출근시간이 1시간 늦춰지고 듣기평가 때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될 만큼 전 국민이 관심을 쏟는 시험인 탓에 출제위원들의 부담감도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수능 한달여 전부터 시작되는 출제 기간에 이들은 외부와 철저히 격리된 채 삼엄한 보안 속에 합숙 생활을 감내해야 한다.

1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이번 시험에 투입된 인원은 출제위원 307명, 검토위원 190명, 보안요원과 의사, 간호사를 비롯한 각종 관리인력 196명 등 무려 693명에 이른다.

올해에도 출제위원들은 지난달 10일 강원도의 한 콘도미니엄으로 들어가 수능 당일인 이날까지 총 32일간 합숙을 하면서 문항 출제에 몰두했다.

이 기간에 보안을 위해 가족을 비롯한 외부와의 연락은 일절 허용되지 않는다.

휴대전화는 물론 이메일과 팩스, 편지 등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기본이고 합숙소에서 사용한 종이, 휴지 등은 외부로 반출되지 않는다.

콘도 건물도 외부와 격리하기 위해 주변을 2m 이상의 펜스로 둘러싸고 그 위에 그물망까지 씌우기도 한다. 바깥에는 ‘내부 수리중‘이라는 표지판을 내건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등 극히 예외적인 사유가 생겨도 일단 합숙소에 들어온 이상 도중에 떠날 수는 없으며 보안요원이 동행한 가운데 잠깐의 외출만 허용된다.

올해의 경우 시험을 이틀 앞둔 8일 출제위원 이모 교사가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국가가 관리하는 대입 시험 역사상 출제위원이 출제본부에서 사망한 사례는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임신 사실을 모르고 들어왔던 출제위원이 건강 이상으로 긴급 교체된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출제위원 위촉 과정도 철통같은 보안 속에 진행된다. 만의 하나 있을지 모를 부정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시험이 끝날 때까지 누가 위촉됐는지는 비밀에 부쳐진다.

교수 또는 교사가 출제위원으로 위촉된 사실도 자신과 해당 학교의 총장 또는 교장만 알아야 하며 출제위원들은 위촉 사실을 발설하지 않고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서약서까지 쓴 뒤 합숙 장소로 입소한다.

게다가 출제의 공정성을 확보하려면 시중에 나와있는 입시학원이나 사설 출판사의 문제집을 일일이 뒤져 비슷한 문항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참고서, 문제집 수천 권도 합숙소에 함께 들어간다.

이런 고생을 하는 출제위원들이 받는 수당은 하루 30만원으로 합숙기간 전체를 합치면 1천만원 가까운 수당을 받는다. 적은 돈이 아니지만 출제위원이 감내해야 하는 희생과 고통도 크다.

이처럼 외부와 단절된 채 `창살없는 감옥‘ 생활을 해온 출제위원들은 10일 오후 5시35분 수능시험 종료령이 울림과 동시에 ‘해방’돼 집으로 돌아가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