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현 조달청 구매사업국장은 1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개최한 조달청장 초청 간담회에서 “동반성장위원회 측에 LED조명의 적합업종 선정 사실을 확인했으며 동반위원회가 주무관청인 중소기업청에 의견서를 보낼 것으로 알고 있다”며 “중소기업청에서 의견이 오는 대로 시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 국장은 “하지만 이전에 체결된 계약을 뒤집을 수는 없다”며 “내년 4월 이후부터 적합업종 선정에 맞춰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LED조명 제품을 배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조달청은 매해 4월과 8월 두 차례씩 공공용 LED조명 제품의 입찰을 시행하고 있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지난 4일 LED조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선정하면서 그날부터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공공시장 철수를 권고했지만 현실적으로 내년 4월 구매 분부터 적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공공조달시장은 GDP(국내총생산)의 8.9% 규모인 104조4000억원에 달하며 조달청은 약 40%의 조달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국가기관의 공공조달 중 조달청이 담당하는 비중은 79.7%에 달한다. 공공기관 조달물품의 경우 11.5%를 도맡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체 발주 비중이 높은 지자체와 교육기관·공공기관도 조달청에 준해 LED조명의 대·중견 생산제품을 배제할 가능성이 높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