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교육과학기술부가 8일 집필기준을 발표한 이후 이승만 독재, 5·16 군사정변, 5·18 민주화운동 등의 구체적인 사건 명칭이 빠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태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집필기준은 구체적 사건을 나열하지 않고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서술 수준과 범위, 유의사항을 압축해 제시하는 ‘대강화’(大綱化) 원칙에 따라 작성됐다”며 “이는 집필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위한 것이며 내용은 집필자가 자율적으로 쓰면 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미 집필기준의 ‘4·19혁명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치 변동과 민주화운동 등 중요한 흐름을 설명한다’, ‘자유민주주의가 장기집권 등에 따른 독재화로 시련을 겪기도‘라는 부분에서 관련 내용을 교과서에 서술하도록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친일파 청산 노력과 관련, “국회에서 반민특위법을 만들었다는 내용과 부연설명은 (교과서에) 넣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술 범위를 검정기준에 명시하는 방안은 “생각해보겠다”고 했다.
교과부는 “5·18민주화운동 등이 교과서에서 빠지면 검정 통과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와 국편은 내년 1월 검정심사 기준을 만들 예정이며 15일 오후 3시 서울교대에서 국어·경제·도덕·역사 교과서 출판사와 집필진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