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정작 논란이 되고 있는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에 대한 재협의는 미국측과 하지 못했다. 여야 모두 아무런 해법도 없이 이 대통령이 15일 국회에 올 필요가 없다는 반응이다.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하루 전인 1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동포간담회를 갖고 “국회에서 FTA 비준을 놓고 갑론을박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통과될 것”이라며 한미FTA 비준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또 14일 방송된 라디오연설에서 정치권을 향해 한미 FTA 비준 문제를 정치적 논리가 아닌 국익 차원에서 풀어줄 것을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구조상, 세계 경제의 어려움이 장기화되면 그 영향을 피할 수가 없다”며 “한미 FTA는 정치논리가 돼서는 결코 안된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ISD 등을 놓고 야권을 설득할 뚜렸한 해법이 없다는 점이다.
이 대통령은 귀국 다음날인 15일 국회를 방문해 박희태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를 상대로 한미 FTA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조속한 비준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최종 상황을 보고 받은 뒤 오후 국회를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민주당은 면담 조차를 거부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은 당초 ‘APEC 정상회의 기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만나 핵심 쟁점인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를 재협의하고 새로운 제안을 받아 올 것’을 주문했지만 이 대통령은 이를 사실상 거부했다.
이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에서 선도발언을 통해 우리나라가 추진해온 성공적인 규제개혁 사례를 소개했고, 또 경제가 어려울수록 보호무역주의를 지양할 것을 촉구했다. 우회적으로 FTA 를 통한 통상·무역 확대를 주장한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조우했지만 FTA 관련 논의는 하지 않았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때문에 청와대 안팎에선 이 대통령이 직접 의원들을 설득하면서 여론 환기 효과를 불러 일으킨 뒤 국회법에 따라 FTA 비준안을 처리하자는 방침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야당을 자극해 자칫 정국이 더 꼬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한나라당 김기현 대변인은 “우리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만나는 것이어서 어떤 내용이 오갈지 알 수 없다”며 청와대와 거리두기에 나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