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가 정치다]‘安 기부’에 정몽준 기부보다 열광하는 이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15 18: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15일 1500억원 상당의 안철수 연구소 지분을 사회 환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3달 전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가 ‘범현대가(家)’의 5000억원 규모 ‘아산나눔재단’ 설립에 2000억원의 사재를 출연키로 했다.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지도층의 릴레이 기부 물결이다. 그러나 이들의 기부를 평가하는 시선은 미묘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안 원장은 비(非)정치인으로 사회 선행적 성격이 짙다면 정 전 대표는 개인보다는 기업인 ‘현대’의 공헌에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유창선 시사평론가는 “안 원장은 정치를 시작한 상태가 아니어서 기존 정치인들의 사재출연과는 다른 의미를 줬다”며 “정치적 의미를 떠나 사회적 선행으로 받아 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안 원장은 빌 게이츠처럼 기업을 떠나서 새로운 활동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재를 출연한 측면이 강하다”며 “개인재산의 사회 공헌 성격이 강하다”고 했다.
 
 사회환원이 개인 차원이냐, 조직 차원이냐를 놓고도 평가는 갈렸다.
 
 정 교수는 “정 전 대표의 경우, 범 현대그룹의 사회공헌이라는 측면이 강조된 반면, 안 원장은 개인 재산의 사회환원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기부 규모도 범현대가의 5000억원은 비중이 낮지만, 안 원장은 자신의 재산 절반 가까이를 기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 원장은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면서 인지도가 높아 그의 사회 출연이 향후 어떤 파장을 미칠지 정치권 등이 모두 주목하는 데 비해 정 전 대표는 화두가 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기부 문화가 사회통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강성진 고려대 교수는 “사회 지도층의 기부가 정신적 양극화 해소나 사회통합에는 도움이 된다”며 “특히 재벌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우리 사회에서 부유층의 사회적 기부는 따뜻함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상대적으로 국민 실생활에 혜택이 없는 반면, 사회지도층의 기부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