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재정위기 본격화되나...헝가리 금융지원 요청 따른 영향 진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23 08: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남유럽을 휩쓴 채무 위기가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쳐 가뜩이나 불안한 경제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동유럽으로 번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헝가리는 21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에 재정지원을 요청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총재는 이날 성명을 통해 “헝가리 정부가 예방적 차원으로 IMF와 EU에 자금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어 “현재 헝가리에 상주하고 있는 IMF팀이 워싱턴 본부와 자금 요청에 필요한 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BBC 등에 따르면 헝가리가 원하는 것은 IMF의 신축적 신용공여(FLC) 프로그램이다. 이는 IMF가 경제적 기반이 건전한 국가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재정위기국에 제공하는 구제금융과 다르게 만약의 위기 상황을 대비한 것이며, 별다른 요구조건도 없다.

지난주 헝가리 경제부는 성명을 통해 “IMF, EU와 헝가리 경제 성장 지원과 관련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헝가리 경제부는 “IMF와의 협상은 경제 주권을 해치지 않으면서 투자자의 신뢰를 얻을 것”이라며 “내년 1, 2월 IMF와 협상을 타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헝가리의 뜻대로 IMF가‘조건 없는 지원’을 수락할지는 미지수이다. 이미 유럽위원회(EC)는 헝가리에 대해 내년 1월까지 외화차입 대출과 관련된 대책을 내놓으라고 압박하고 있다.

헝가리는 최근 자국 통화인 포린트 가치가 급락하고 국채금리가 급등하자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헝가리 정부의 성장촉진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면서 국가빚이 쌓이고 있다는 점이다.

헝가리는 지난 2008년 IMF의 주도하에 구제 금융을 받았지만 빅토르 오르반 총리가 IMF와의 계약을 같은 해 폐지하고 대형 은행들에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강경책을 펼쳐 왔다.

헝가리 정부의 공식통계에 따르면 9월 현재 헝가리의 국가채무는 국내총생산(GDP)의 82%를 차지해 3개월 전보다 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재정위기국인 그리스(142%), 이탈리아(119%)보다는 낮고 프랑스(81%)와 독일(83%) 등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와 피치 역시 헝가리 정부 정책실패와 경제 악화로 향후 경제전망이 '부정적'이라고 경고했다.

헝가리의 구제금융 요청 소식이 전해지면서 21일 포린트화 대비 유로화는 전날보다 0.7% 상승해 올 들어서만 10%포인트 올랐다. 헝가리 10년물 국채 금리도 지난 10월 17일 7.63%에서 지난 17일 한달만에 8.74%로 1.11%포인트 급등했다.

/이규진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