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뉴질랜드 헤럴드에 따르면 오타고 대학 연구팀은 지난 1977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태어난 126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태어나서 10세가 될 때까지 가난한 집에서 자란 사람이 부유한 집에서 자란 사람보다 30세 무렵의 연소득이 평균 2만 달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별다른 학위도 없이 일찍 학교를 그만두거나 20세 이전에 아이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 밖에도 성인이 되면서 범죄나 약물 사용, 정신 건강 등의 문제에 직면할 여지도 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체로 가족 수입과 관련된 요인이 이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그 원인으로 부모의 학력, 약물 사용, 범죄, 부부 갈등, 아이들의 지능 등을 지적했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퍼거슨 교수는 특히 분위기가 밝고 능력이 있는 집안에서 자란 사람들은 그 소질을 물려받음으로써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퍼거슨 교수는 “고소득 집안에서 자란다는 것은 교육적인 성취도나 직업적 성공을 위한 롤 모델과 자원을 동시에 제공받고 있다는 뜻이 된다”고 했다.
교수는 어린 시절 가족 수입이 나중에 교육과 직업적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사람은 지난 1970~1980년대 태어난 부모들보다 더 상황이 좋지 않을 수 있다면서 그 이유로 더 커진 소득 격차를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