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망토 입을 날 멀지 않았다”

(아주경제 전재욱 기자) 어떤 공간이나 각도에서도 물체를 안보이게 하는 기술이 마침내 개발됐다. 이로써 ‘투명 망토’를 입게 될 날이 멀지 않았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주립대(UTA) 연구진은 새로 개발한 ‘플라스몬 메타물질’ 로 18㎝의 원통형 물체를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안 보이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사이언스 데일리와 BBC 뉴스가 보도했다. 연구진은 그러나 이 실험이 아직까지는 전자기장 스펙트럼 가운데 마이크로파에서만 유효하다며 한계를 밝혔다.

모든 유형의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에서 모습을 나타낸다. 물체의 형태가 눈에 보이는 것은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이런 장(場)을 흡수하거나 전달 혹은 반사하는 까닭이다. 지금까지 선보인 투명망토 기술은 대부분 빛을 휘어 돌아나가게 만드는 성질을 바탕으로 한 ‘메타물질’ 소재였다.

그러나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플라스몬 메타물질은 이와 달리 모든 물질에 ‘음주광성(photonegative)로 빛을 산란시키지 않는 성질을 갖게 한다. 이는 투명 망토가 물체와 만나면 서로의 빛을 상쇄시킨다. 이로써 보는 각도에 상관없이 물체가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연구진은 “플라스몬 은폐기술의 장점은 기존의 형태전환 메타물질 투명망토보다 우월한 견고성과 넓은 조작 대역폭”이라며 “이는 자유 공간에서 물건을 감출 때의 요체”라고 강조했다.

과학자들은 영화 ‘해리 포터’에 나오는 것처럼 가시광선 영역의 투명망토를 실현하기엔 당장은 어렵지만 이 기술이 다른 메타물질 기술과 결합하면 5년 안에 플라스몬 투명망토를 걸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진은 이를 독일 물리학회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에 발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