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업체들 잇따라 문닫아..집값 하락 대세

  • 베이징 부동산개발업체 473곳 문닫아…전년比 3배 증가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정부의 주택시장 옥죄기가 지속되면서 중국 부동산 경기가 침체에 빠진 가운데 부동산개발업체들이 영업을 중단하고 문을 닫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 베이징시주택건설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해 말 기준 중국 베이징시 부동산 개발업체 473곳에서 자격허가증을 유효기간 내 갱신하지 않아 영업증이 취소됐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이는 전년의 185개보다도 세 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특히 여기에는 중소업체나 신생 업체뿐만 아니라 둥팡스다이(東方時代) 부동산, 스마오(世茂) 부동산 등 대형 부동산업체도 여럿 포함돼 있어 충격을 더해주고 있다.

부동산 업체들이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 경기 속에서 토지를 공급받기가 힘들어진데다가 자금줄마저 막혀 영업을 중단한 것이다.

베이징 국토 부문에 따르면 지난 수 년간 베이징에서 매년 경매에 부쳐지는 토지 공급량은 200필에 채 못 미쳤다. 앞으로도 토지 공급량이 위축되면 향후 5년 간 베이징에서 공급하는 토지는 많아야 겨우 1000필에 그칠 전망이다.

업체 당 토지 1필을 공급받는다고 계산하면 향후 5년 간 겨우 1000개 업체가 토지공급을 받을 수 있다. 현재 베이징 시내 영업 중인 부동산업체가 모두 3000개임에 비춰볼때 나머지 토지를 양도받지 못한 2000개 업체는 결국 베이징 부동산 시장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 부동산관리국에 따르면 지난 해 10월 말 기준 우한시에 등록된 부동산 업체는 1375곳으로 2010년 동기 대비 200여개 감소했다.

앞으로도 부동산업체의 ‘소멸’은 수 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중국 전역의 집값 하락은 이미 대세로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부동산 전문가 황수보(黃恕波)는 심지어 올해 집값이 30%까지 폭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저장(浙江)성에서 발행되는 진장완바오(錢江晩報) 역시 최근 중국의 저명 경제학자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2.9%가 부동산 가격 하락을 점쳤으며 집값이 반등할 것이라는 대답은 7.1%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