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감독당국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이 지난해 보유 중이라고 발표한 총자산 3조7400억원 가운데 현재 남은 자산은 약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산저축은행의 파산재단이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채권은 4700억원이다. 예보 소유 예솔저축은행이 확보한 자산 2000억원과 부실채권 회수 전문기관인 정리금융공사로 넘어간 100억원 등을 더해도 7000억원을 넘지 않는다.
부산저축은행의 자산 3조원이 날아간 배경은 부실·불법 대출자산 때문이다.
1년 전 부산저축은행과 더불어 1차 영업정지 대상에 올랐던 다른 저축은행도 사정은 비슷하다.
1조200억원이라던 보해저축은행의 자산은 1200억원으로 10분의 1이 됐다. 부산저축은행의 계열사인 부산2저축은행도 당시에는 자산이 3조1800억원이라고 발표했으나 현재는 83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앞서 지난 14일 분기 경영실적을 공시한 20개 저축은행 가운데 9개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또 다른 대형저축은행은 계열사가 죄다 적자를 냈다. 이들 저축은행 중에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감독당국이 정한 하한선인 5%를 간신히 넘겨 위태로운 곳도 적지 않다.
계열사와 자산 매각이 순탄하지 못하거나 대규모 증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영업정지될 확률이 높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이들 저축은행의 부실자산과 계열사 매각 상황을 점검해 이르면 오는 4월께 적기시정조치(부실 우려 금융회사의 정상화 조치) 여부를 정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