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의 세대' 20대 생활형편 3년來 최악

  • 졸업 앞둔 대학생 70%, 평균 빚 1308만원… 작년보다 11.4% 증가

(아주경제 박성대·이수경 기자) 20대가 체감하는 생활형편이 3년 만에 가장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문턱이 높아지면서 소득은 늘지 않는 가운데 생계비 마련 등을 위해 생계형 부채가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21일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를 보면 30세 미만 소비자의 현재 생활형편 CSI는 지난 1월 기준 70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9년 1월 6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생활형편 CSI가 100을 밑돌면 현재 생활이 과거보다 나빠졌다고 보는 응답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현재 생활형편 CSI의 전체 평균은 83으로, 30세 미만 소비자 CSI는 이보다도 13포인트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6개월 후 경기에 대한 전망을 묻는 생활형편 전망 CSI에서도 30세 미만은 전체 평균(90)을 밑도는 83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여전히 청년층 취업난이 심각한 데 따라 소득 여건이 제자리를 걷고 있는 탓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추정에 따르면 지난해 체감 실업률은 11.3%였으며, 이 가운데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은 22%에 달했다. 지난달 30세 미만의 취업기회 전망 CSI도 70으로 전체 평균 83보다 상당히 낮았다.

이런 상황에서 생활비 지출 등으로 빚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보면 가구주 연령이 25~30세인 가구의 경상소득은 평균 312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9.3% 증가한 반면, 부채총액은 1458만원으로 전년 대비 34.3% 급등했다.

부채 종류별로는 담보대출이 42.7%(906만원) 급등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신용카드 관련 대출이 22.2%, 외상 및 할부 미상환액이 28.6% 증가했다.

담보대출 용도로는 생활비 마련이 16.8%로 전년(2.4%)보다 무려 7배나 급등해 생계형 부채가 급증했음을 나타냈다. 거주주택 마련 비중은 44.3%로 전년(46%)보다 줄었으며 전(월)세 보증금 마련 비중은 16.3%로 전년(16.6%)과 비슷했다. 반면 저축액은 1720만원으로 전년보다 18.8% 급감했다.

한편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2월 국내 4년제 대학을 졸업하는 남녀 774명의 '부채현황’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 한 명당 평균 1308만원의 빚을 진 것으로 조사됐다. 빚을 지게 된 이유로는 ‘학교 등록금’이 84.4%를 차지했다. 이어 △가정생활(35.7%) △해외어학연수 비용(16.4%) △사교육비(10.5%) 등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