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집수리 대상 물량이던 1100가구 중 250가구에 대해 민관협력형 집수리를 추진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새롭게 도입되는 '민관협력형'은 서울시가 35%를, 민간사가 나머지 65%를 지원하는 형태다.
시는 이처럼 시민단체, 민관기업, 사회적기업, 일반 시민들의 물적·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민관협력형 스타일의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추진해 저소득층 집수리 사업에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시는 민관협력형 형태 도입에 따라 1가구당 지원금이 10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상향됨은 물론 기존 도배·장판 수준에 머물렀던 집수리 사업이 단열보강 등의 내부적 수리까지 확대될 질적 향상도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민관협력형 사업으로 탈바꿈하는 '희망의 집수리 사업'은 시민단체가 사업수행기관이 돼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치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민간기업은 수리비용과 집수리 물품을 제공하거나 집수리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시는 올해 '희망의 집수리 사업' 사업수행기관으로 한국해비타트 서울지회로 선정했으며, 대림산업(8000만원)·대림I&S(3000만원)·하나금융(1000만원)·우체국(800만원)·서부발전(200만원) 등을 통해서 현재 1억7000만원을 모금 중이다.
이와 관련 시는 29일 오전 9시 30분 종로구 이화동 이화벽화마을에서 한국해비타트와 후원기업간 MOU를 체결한다. 이날 MOU 체결 이후로 이화벽화마을 30가구 중 6가구가 첫 집수리에 들어간다.
시는 7월중에 중랑구 새우개마을과 노원구 백사마을을 수리하고, 연말까지 추가 신청을 받는다. 수급자와 차차상위계층(최저생계비의 150% 이하)으로서 최근 2년 이내 집수리 지원을 받지 못한 저소득 시민이면 모두 대상이며, 마을만들기 시업사업 대상지와 정비구역 해제(유력)지역 등 집단적 노후주택 밀집지역은 우대된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통해 서울시는 예산 대비 사업효과를 높이고,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일반시민은 나눔 문화를 체험하고, 수혜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난방비까지 절감할 수 있는 '상생형 집수리' 사업"이라며 "앞으로 더 많은 기업과 시민들이 참여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