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건설이 개발한 내력·내화성능이 향상된 CFT가 건설기술연구원에서 내화성능 평가를 받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 = 포스코건설] |
CFT는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운 형태로 건축물의 뼈대 역할을 한다. 이번 신기술은 포스코건설과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초고강도 800MPa 강관(鋼管) 및 100MPa 콘크리트를 활용해 기존 CFT보다 내력 300% 이상, 내화 성능 2배 이상 향상됐다. 이번 개발 기술에 대한 건설기술연구원의 시험 결과, 1000°C이상 고온과 1000t 하중을 견디는 상황에서 2시간 동안 안전성을 유지했다.
고강도 CFT는 지진이나 바람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해 초고층 건축물에 활용된다. 하지만 고온에서 폭발현상을 보이는 단점이 있어 내화 피복(불에 잘 견디는 성분)을 CFT 표면에 덧입히는 추가공사가 필요했다고 포스코건설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기술 개발로 별도 내화 피복 시공을 거치지 않아도 돼 안전성 및 공기단축·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됐다.
포스코건설은 올해 안에 3시간 동안 내화 성능을 유지하는 초고강도 CFT를 개발하고, 내년부터는 포스코건설이 시공하는 초고층빌딩에 적용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