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7일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추진위는 신종플루 이후 감염병 대응 R&D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설립됐다. 보건복지부·교육과학기술부·농림수산식품부·지식경제부·기획재정부·식품의약품안전청 등 6개 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합동으로 운영 중이다.
최근 감염병은 신·변종 감염병이 급증하고 재유행감염병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세계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WHO의 조사에 따르면 214개국으로 퍼진 신종플루의 확산속도는 기존의 4배 이상이며, 지난 40년간 전세계적으로 39종 감염병 창궐 및 20종 약물내성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번 추진전략은 염병 대응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계부처가 뜻을 같이 해 발표한 첫 중장기 계획이라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특히 감염병의 확산은 국민건강과 국가경제에 큰 위협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감염병 위기 대처 능력은 중요한 국가경쟁력 요소라고 추진위 측은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EU·일본 등 선진국들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중점 육성기술 및 분야를 선정해, 전략적 R&D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추진위는 향후 5년 간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할 8개 중점분야 전략 및 주요 내용도 밝혔다.
우선 △신종인플루엔자 △만성감염질환(AIDS·간염 등)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기후변화(기후변화관련 감염병) △결핵(재발난치성결핵) △생물테러 △인수공통감염병 △원인불명감염병 등 기술개발이 시급하고 확산에 따른 파급력이 높은 감염병을 R&D 투자 확대 중점분야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감염병 R&D의 개별적 추진으로 인한 중복 투자를 최소화하고 감염병 정책으로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 범부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발생을 예견하기 어렵고 새로운 진단·치료법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적기 대응이 어려운 신·변종 감염병 조기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을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신·변종 감염병 예측 기술과 진단·치료기술 개발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감염병 대응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여 기술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추진위는 "전염병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여 마련한 금번 추진전략을 토대로 향후 중점 분야별 세부 투자 계획을 마련할 것" 이라며 "감염병과 같이 예측이 어려운 분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의약품 개발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