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를 개설한 은행에서만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그동안 체크카드 활성화에 장애물이 됐던 ‘금융계열사 몰아주기’ 관행이 깨지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 확대는 물론 업계의 상품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계 카드사인 하나SK카드는 최근 NH농협은행과 계좌연동을 시작했다. 계열사인 하나은행 외에 NH농협은행 계좌를 통해서도 하나SK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은행계 카드사가 타 은행에 체크카드 결제계좌를 연결해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하나SK 체크카드를 발급하려는 고객은 하나은행 계좌를 가지고 있어야만 했다.
하지만 이번 NH농협은행이 계좌이용을 허용하면서, 하나SK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고객들은 출금계좌를 농협은행과 하나은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고객들은 마음에 드는 체크카드 상품을 발급할 때 계좌까지 모두 옮겨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된 것이다.
하나SK카드 관계자는 “농협계좌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SK 체크카드를 발급받고 싶었던 고객들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 신청이 가능해졌다”며 “고객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은행들이 ‘계열사 몰아주기’를 해왔던 것은 타 은행의 계좌를 이용할 시 비싼 수수료를 물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장들을 소집해 체크카드 활성화의 일환으로 수수료 인하와 계좌연동 확대를 주문했다.
기존에는 은행들이 계열이 아닌 카드사에 계좌를 허용할 때 0.5%의 수수료를 물게 했지만, 이 수수료가 0.2% 수준으로 낮아지면서 수수료 부담이 줄게 된 것이다.
이에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등 전업계 카드사들은 물론, 은행계 카드사들까지 타 은행과의 계좌 연결을 확대하면서 ‘다은행 다상품’ 체제를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고객들의 선택권이 확대됨에 따라, 앞으로 상품 경쟁력이 있는 카드사가 체크카드 시장에서 살아남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은행계 카드사인 하나SK카드가 농협은행과 계좌연동을 시행하면서, 전업계는 물론 은행계 카드사들까지 체크카드의 한계를 허물게 됐다”며 “앞으로 은행과 은행들 사이의 연계가 활성화되면 카드사들의 체크카드 상품 경쟁도 본격화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