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호중 민주통합당(경기 구리시) 의원은 통계청 국정감사에 앞서 배포한 자료에서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국제노동기구(ILO)의 식으로 계산할 경우 2.9%에 머무는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미 노동통계국의 체감실업률 지표 인 노동자를 포함한 실업률(U-6) 방식으로 계산하면 11.4%에 달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실업률 측정이 ILO 기준 뒤에 숨어 실업률을 낮추기에만 급급해왔다는 것이 확연하게 드러난다는 지적이다.
윤 위원은 “우리나라 고용시장은 지난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2008년 하반기 이후 본격화된 경제위기로 실질적인 고용사정이 더 한층 악화됐음에도 실업률은 3% 대의 실업률을 유지하고 있다“며 완전고용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통계청은 ILO 기준에 따라 실업률 통계를 작성하고 있다고 하지만, 통계작성을 위한 설문조사에서 대상자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따라 관련 통계수치들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런 정황이 우리와 고용률이 비슷한 미국의 체감 실업률과 비교해 보면 증명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미국 U-6 와 같은 체감실업률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잠재적 실업자라고 불리는 취업을 하려고 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 다니는 취업준비생, 고령자가 아니면서 구직활동을 그만둔 채 쉬고 있는 사람, 노동시간이 매우 짧아 정상적인 취업상태로 보기 힘든 사람은 그저 비활동경제인구로 버려진 숫자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통계청은 고용통계 자료에서 버려지면서 정책적 지원도 받지 못하는 청년실업자에 대해 막중한 책임을 느껴야 한다. 미국처럼 ILO 기준의 공식 실업자율과 U-6와 같은 체감실업률을 함께 발표해 실업률 통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