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여전히 넘치는 재고… 끝이 없는 불황

  • "각국 보호주의가 태양광 구조조정 지연시켜"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태양광 경기침체가 장기화됐지만 공급과잉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과잉이 해소되려면 태양광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한데,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이를 지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태양광 수요는 일부 글로벌 선두기업의 공급량으로 충당되지만 그 하위 업체들이 여전히 가동 중이다. 이로 인해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제품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의 장기불황을 야기하고 있다.

국내 1위이자 세계 선두권인 태양광 폴리실리콘 기업 OCI 조차 지난 3분기에 폴리실리콘사업 부문에서 분기사상 첫 적자를 기록했다. 4분기에도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이 지속돼 적자폭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폴리실리콘 가격은 지난 9월 중순 심리적 마지노선인 kg당 20달러선을 깨고 하락해 이달 셋째주 15.82달러까지 떨어져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PV인사이트는 독일을 비롯해 신흥시장인 중국과 일본의 수요가 견조하지만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PV인사이트는 “몇몇 모듈업체가 여전히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폴리실리콘은 공급자와 바이어 사이에 여전히 많은 재고가 있어, 재고가 소진되지 않는 한 가격 하락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태양광 구조조정을 지연시켜 가격하락을 초래했다고 지적한다.

이날도 중국 상무부는 한국과 미국, 유럽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중국산에 덤핑관세를 부과하고 유럽도 중국산에 대한 덤핑 조사를 벌이는 등 무역 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맞불식으로 벌어진 일이다.

LG경제연구원 양성진 책임연구원은 “내수 시장 활성화와 더불어 자국 기업의 제품 사용시 혜택을 주는 등 태양광 산업 내에서의 보호주의는 점점 강화되는 추세”라며 “환경보호라는 전지구적인 당위성 이외에도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고 고용창출효과까지 뛰어난 태양광 산업을 쉽게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호주의는 글로벌한 합종연횡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수출산업을 꿈꿨던 태양광 산업이 로컬비즈니스로 전락할 수 있다”면서 “극심한 공급과잉에도 불구하고 예상 외로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