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는 국내 위성방송을 보호하고 방송통신 정책수립 등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국내외 위성방송 수신실태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국내 상공 57기의 방송위성을 통해 서비스되는 위성방송 채널은 전년 대비 937개 채널이 증가했고 이 중 국내에서 복조가 가능해 별도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무료방송 채널수는 771개로, 전년대비 312개 채널이 감소했다.
6909개 위성방송 채널 중 TV방송은 5467개인 79.1%, 라디오 방송은 1442개로 20.8%였다.
복조가능 채널은 TV방송이 총 TV방송의 7.8%인 427채널, 라디오방송은 라디오 방송의 23.9%인 344채널이었다.
위성방송 채널 복조가 불가능한 원인은 국내에 유입되는 방송신호의 세기가 매우 미약한 것이 3823개였고 방송채널이 암호화된 경우가 1267개였다.
국내외 모든 위성방송은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고 있고 아날로그 방식 위성방송은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2010년부터 나타나지 않고 있다.
500개 이상 위성방송 채널을 서비스하는 국가 및 국제기구는 중국 1202개, 인텔셋 972개, 호주 778개, 미국 557개, 인도 519개, 일본 502개 순으로 복조가능 채널은 중국 380개, 태국 83개, 러시아70개, 미국 47개 등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