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 인구주택 총조사, 1인가구 현황과 특성'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10년 전(2000년)보다 191만8000가구(86.2%) 증가한 414만2000 가구로 집계됐다.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가구인 셈이다. 일반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은 2010년 23.9%로 10년 전보다 8.4%포인트 증가했다. 1인가구 규모는 10년 전(222만4000가구)에 비해 191만8000가구(86.2%) 늘었다.
특히 남자가 97만9000가구(103.6%) 늘어 여자 93만8000가구(73.3%)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1인가구 3명 중 1명(34.4%)은 보증금 있는 월세 등 주거형태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새 14.4%포인트(97만3000가구) 늘어난 수치다. 반면, 자기 집 소유 비율은 10년 전 32.6%에서 2010년 31.9%로 소폭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55세 이상에서는 자기 집을 보유한 이들이 가장 많았고, 54세 이하 연령층에선 보증금 있는 월세가 주된 형태로 주거여건이 열악함을 알 수 있다.
1인가구의 성별 및 연령별 비율을 보면, 남자는 혼인 직전인 28세(17.3%)에서 정점을 이루다가 점차 감소하는 모습이다. 여자는 26세(13.0%)에서 1차 정점에 달한 후, 혼인으로 감소했다가 사별로 점차 증가했다. 79세(36.9%)에는 2차 정점인 쌍봉 패턴을 보였다.
10년 전에는 1인가구 비율 정점이 남자는 27세(10.8%), 여자는 24세(7.3%), 2차 정점은 75세(26.7%)였다. 따라서 2010년 남자는 정점이 한 살 늦춰지고, 여자는 1차 정점이 2세, 2차 정점이 4세 늦어진 것이다.
남녀 모두 18세 이후 취학이나 취업 등으로 급격하게 1인가구가 될 확률이 높게 나왔다. 남자는 28세(17.3%), 여자는 26세(13.0%)에서 정점이다. 이후 혼인으로 2인가구가 되는 비율은 남자는 30세(23.3%), 여자는 29세(23.4%)까지 늘고, 자녀 출산으로 3인가구와 함께 4인가구도 급증했다.
자식들이 취업과 취학·혼인으로 출가하면서 남자 43세, 여자 40세 이후부터 점차 3인 및 4인 가구는 감소하고 부부만의 빈 둥지가 증가했다. 빈 둥지는 남자는 76세에 정점(56.3%)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며 이후 감소하고, 여자는 64세(44.8%)까지 늘었다.
남자는 76세 이후 2인가구가 될 확률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는 사별 등으로 1인가구가 되거나, 다른 가족과 다시 합쳐 3인 이상 가구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여자는 76~86세 기간 중 3분의 1이 1인가구로 혼자 살다, 90세 이상 고령이 되면 가족과 재결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