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찰과 풍성한 자연의 선물로 채워지다.

아주경제 최병일 기자=양산을 가보셨나요? 어떤 이들은 양산이 영축산 통도사 빼면 볼 것 없지 않냐고 반문하기도 합니다. 물론 통도사는 참으로 좋은 사찰이고 여행지입니다. 하지만 양산에서 통도사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코끼리 다리를 만지고 코끼리라고 하는 것만큼 우스운 이야깁니다. 양산의 곳곳을 여행해보면 얼마나 많은 볼거리와 느낌있는 여행지가 있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낙동강 자락이 한 눈에 들어오는 임경대에서 ‘경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내원사 계곡까지 가슴까지 청량해지는 풍성한 자연의 선물이 가득합니다. 자연속에서 힐링을 원한다면 양산으로 오세요. 오솔길을 걸어도 좋고 사찰 속에서 사색에 잠겨도 좋습니다. 양산에서는 자연으로 걸어 들어갔는데 어느새 자연이 나를 푸근하게 안아주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통도사 금강계단

통도사를 가보지 않고 양산을 이야기 할 수 없다. 양산에 많은 절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역시 압권은 통도사다. 영축산 줄기에 자리한 통도사는 신라시대 선덕여왕 재위15년(646년)에 창건된 천년고찰(千年古刹)이다. 단지 오랜 세월을 휘감고 있다는 뜻이 아니다.
통도사는 이른 봄 매화의 화사한 아름다움도 유명하지만 들어가는 길이 절경을 이루는 곳이어서 절로 들어가면서 저절로 힐링이 된다. 매표소인 무풍한송에서 일주문까지 걷는 흙길은 산책코스로 일품이다. 무풍한송(舞風寒松). ‘바람은 춤추고 소나무는 차다’는 뜻이니 길이 가진 이름이 한 줄 시와 다름없다. 길 옆 작은 개울의 청량한 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맛이 일품이다.
통도사에서 꼭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현판들이다. 당대 명필로 이름이 높은 추사 김정희와 흥선대원군의 글씨를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통도사 천왕문에서 바라본 고졸한 풍경

통도사는 우리나라 3보사찰 중 하나인 불보(佛寶)· 사찰이다. 불교의 근본은 불 법 승 즉 부처님과 부처님의 말씀과 부처가 되기 위해 정진하는 스님이 있어야 한다. 때문에 불법승은 불교를 이루는 기본이고 가장 귀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어느 절이나 이 세 가지 근본을 갖추지 않은 곳은 없지만 그중에서도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대장경을 봉인한 해인사를 법보사찰이라고 부른다. 보조국사 지눌을 비롯해 16명의 국사를 배출한 송광사는 승보사찰로 이름을 떨치고 있으며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강가사를 모시고 있는 통도사는 대표적인 불보사찰이다. 통도사에 모시고 있는 진신사리는 불골(부처님의 유골) 불아(부처님의 치아) 불사리(부처를 다비하여 얻은 유골)로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통도사 대웅전은 특이하게도 사면에 이름이 제각기 달려 있다. 동쪽은 대웅전 서쪽은 대방광전 남쪽은 금강계단 북쪽은 적멸보궁의 현판이 걸려 있다.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의 위용때문인지 대웅전에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 대신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불상을 대신한다. 금강계단은 금강과 같이 단단하고 보배로운 규범이라는 뜻이다. 부처님이 항상 그곳에 있다는 상징성을 띤 것이기도 하다.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금강계단은 바로 부처님의 계 그 자체인 것이다.

통도사 서운암의 명물인 된장단지

통도사의 암자여행은 또 다른 묘미를 준다. 통도사의 자장안에는 무려 19개의 암자가 자리하고 있는데 마치 통도사를 중심으로 요새를 이룬 것 같다.
통도사 암자 중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 서운암이다. 통도사 주차장 쪽으로 난 길을 따라 가면 보타암과 취운암을 지나면 서운암이 나타난다. 서운암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수 천 개는 족히 되는 장독들. 바람과 햇살에 익어가는 된장과 고추장 간장이 늘어선 풍경은 가히 장관을 이룬다.
서운암에 또 하나의 볼거리는 작은 불상이 무려 3000여개나 모셔져 있는 삼천불전이다. 성파스님이 1985년부터 5년동안 흙으로 구워낸 도자 삼천불이다. 서운암 주변은 무려 100여종이 넘는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어 있는 야생화군락지이기도 하다.
(서운암: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번지 055)382-7094)

극락암은 서정적인 풍경으로 유명한 사찰이기도 하다

통도사에서 꼭 들러봐야 할 곳은 극락암이다. 극락암은 우리시대 큰 스님으로 이름이 높은 경봉스님이 정진했던 곳이다. 스님이 워낙 고명하다보니 수많은 이야기를 숨겨놓고 있다. 극락암은 들어서는 입구부터 장엄하다.
(극락암: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번지 055)382-7083)

임경대에서 본 낙동강 풍경이 일품이다.

양산 정취를 한눈에 훓어보려면 오봉산의 임경대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 양산8경 중 7경이기도 한 오봉산 임경대(臨鏡臺)는 통일신라시대 대문장가였던 고운 최치원 선생의 시에서 유래한다.
최치윈 선생은 벼슬길에 물러난 뒤 문득 이 일대 암벽위에 서서 낙동강을 바라보며 한편의 시를 썼다. 안개 낀 봉오리 뾰족뾰족 물은 늠실늠실/ 거울 속 인가가 푸른 봉우리 마주했네/ 어디로 외로운 배 바람 잔뜩 안고 가나?/ 별안간 날던 새 자취 없이 아득하네/)낙동강의 비친 산의 모습이 마치 거울 같다하여 읊은 시에서 임경대라는 말이 유래했다 하나 실상 임경대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임경대는 지난 2001년 개봉했던 ‘엽기적인 그녀’에서 전지현과 차태현이 이별을 했던 장소다. ‘견우야 ~미안해~’라고 애절하게 외치던 장소가 바로 임경대다.
임경대의 풍경은 시시각각 변한다. 구름이 흘러갈때는 운해가 뒤덮혀 바다처럼 떠다니고 황혼이 깃들 무렵이면 온 천지가 붉은 빛으로 물들여진다. 뿐이랴 눈이라도 내리면 설국이 펼쳐진다.
선덕여왕시절 원효스님이 창건한 천성산 내원사 죽림원에서 스님이 차를 마시고 있다.

내원사는 들어가는 입구부터 절경이 펼쳐진다. 내원사 계곡은 영남 알프스의 남쪽 주봉인 천성산에서 발원한 계류가 북쪽으로 흐르며 만들어 놓은 계곡이다. 경남의 소금강이라는 말이 허명이 아닐 정도로 기암절벽이 계곡마다 펼쳐져 있어 신비한 느낌을 준다. 계곡 곳곳에 3층 바위와 작은 폭포와 소 병풍바위가 둘러 쌓여 있다.
통도사가 남성적인 느낌이 강하다면 내원사는 다분히 여성적이다. 내원사가 비구니 스님들이 정진하는 곳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부드럽고 고운 선을 지닌 절의 모습이 어머니의 모습처럼 소담하기 때문이다. 내원사는 신라 선덕여왕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6.25때 전소되었으나 1958년 비구니 수옥스님의 원력으로 새롭게 중창되었다.
(내원사: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91번지 일원 055)374-6466)

문의 : 양산시 문화관광과 055)392-2543 www.yangsan.go.kr

여행메모
가는 길
기차로 양산을 가려면 서울역에서 구포까지 KTX를 타고 가는 것이 가장 빠르다. 오전 5시30분부터 있으며 시간은 2시간 40분가량이 소요된다. 구포역은 부산 지하철 3호선인 구포역과 인접해 있으며 양산역으로 갈 경우 2호선으로 환승해서 가면된다. 시외버스는 서울남부터미널에서 양산시외버스를 타면된다...3시간50분소요(서울남부터미널(02-521-8550, https://www.nambuterminal.co.kr)

맛집
양산 통도사 앞에 있는 산채전문점인 경기식당(055-382-7772)는 영축산에서 자생하는 고사리, 산나물, 푸른나물 등 7가지의 각종 산나물을 비빔밥 재료로 사용해 향이 독특하고 산나물 특유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우거지국도 담백하다. 양산의 향토음식이기도 한 민물매운탕은 산바다집(055-375-6677)이 유명하다. 1급수에서만 사는 빠가사리 매운탕을 특히 잘한다. 잡내가 전혀 없고 얼큰하면서도 시원하다. 손영환 비빔국수(055-366-9799)는 각종 야채와 과일을 자연발효시켜 소스를 만들었다. 매콤달콤한 맛이 일품이고 뒷맛이 개운하다. 비빔국수는 보통(4500원)곱배기(5000원)왕곱배기(6000원) 모두 세 종류다.
잠잘곳
하북에 있는 자연관광호텔(055)381-1010)통도신라호텔(055)381-4700)이 깔끔하다. 내원사 한듬계곡의 힐튼파크(055)374-6588) 민박이나 펜션은 주로 원동면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반디팬션(055-362-0036)무지개팬션(055-364-6695)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