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시중통화량을 의미하는 광의통화(M2·평균잔액, 계절조정기준)는 전년 동월대비 4.6% 증가했다. 잔액은 1822조4000억원이다.
M2에는 현금과 더불어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인 협의통화(M1), 2년 미만 정기 예ㆍ적금, 금융채, 머니마켓펀드(MMF),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형 상품이 포함된다.
M2는 지난 7월 6.0%의 증가율로 1년 6개월만에 최고치를 찍은 후 8월 5.7%로 떨어져 9월 5.2%로 다시 하락했다. 10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증가폭으로는 지난해 12월(4.4%) 이후 10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월 대비(계절조정계열 기준)로도 0.2% 증가에 그쳤다. 전월 증가율(0.1%)보다는 소폭 오른 수치다.
이에 대해 한은 경제통계국의 김민우 금융통계팀 과장은 “여타 단기금융상품들에 비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메리트가 부각되면서 증권ㆍ보험 등의 법인자금 유입이 늘어난 데 따라 MMF(머니마켓펀드) 등을 중심으로 M2가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간 MMF는 전월보다 2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날 함께 발표한 ‘11월중 금융시장동향’ 자료를 통해 한은은 11월중 M2증가율(평잔, 전년동월대비) 역시 전월보다 하락한 4%대 중반으로 추정했다.
이에 대한 배경으로 한은은 “국외부문 통화공급이 경상수지 확대로 늘어나고 정부부문의 통화 환수규모도 줄었으나 민간신용이 은행대출을 중심으로 축소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기 통화지표인 협의통화(M1·평균잔액)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5.5%, 전월대비로는 0.9%를 기록했다. 잔액은 444조5000억원이었다. 협의통화에는 요구불 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이 포함된다.
금융기관 유동성(Lf·평균잔액)은 2424조원이었으며,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7.1%로 전월(7.6%)보다 줄었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0.3%로 9월(0.4%)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Lf에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이 더해진 총유동성(L·월말잔액)은 3175억원으로 ,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7.8%를 기록해 전월(8.9%)보다 줄어들었다. 전월 대비로는 0.1% 증가해 0.3% 증가했던 9월보다 증가규모가 축소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