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전파재난 관리 기본계획수립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내년부터 태양활동 극대기가 시작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태양흑점 폭발 등 우주전파재난으로 인한 피해 예방과 체계적인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우주전파재난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3일 발표했다.

우선 지구 자기장.전리층 관측 시스템 구축, 외국 관측위성 데이터 수신 등을 통해 태양활동을 24시간 상시 관측하고, 이를 토대로 태양흑점 폭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주전파환경 변화를 관련기관에 실시간 전파할 수 있는 관련 경보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정밀한 예보.경보모델을 개발해 태양흑점 폭발과 영향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재 이천, 제주 등에 설치된 전리층 관측기를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위성체 손실, 항공기 승무원 피폭 등 피해수준이 최고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정부에서도 방통위 위원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우주전파재난 대책본부를 운영하기로 했다.

국토부, 교과부, 지경부, 기상청 등은 우주전파재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에 따라 소관시설이나 서비스에 대한 피해복구, 예방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우주전파재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고 관련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관계기관에 대한 교육, 홍보 등도 추진기로 했다.

국제우주환경서비스기구(ISES) 등 국제기구 활동에도 적극 참여해 국가 위상 강화와 우주전파재난 국제공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1960년대 말부터 산하 국립전파연구원을 통해 태양흑점 폭발, 전리층 교란 등으로 인한 위성, 항공, 항법, 전력, 방송통신 등의 피해에 대비해 관련 연구와 예.경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8월 제주 우주전파센터 설립과 함께 국내도 미국 등에 이어 우주전파재난에 대한 독자적인 예.경보 체계를 구축하고 범정부적인 우주전파재난 대응체계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방통위는 기본계획수립에 따라 내년부터 시작되는 태양활동 극대기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고 그 영향으로부터 국민생활과 국가 기반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우주전파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