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조선해양기자재 포럼’ 및 ‘조선해양기자재 간담회’ 개최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지식경제부가 조선해양산업계의 미래 시장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모색에 두 팔을 걷고 나섰다.

지경부는 21일 부산 파라곤호텔에서 열린 ‘조선해양기자재 포럼’과 ‘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업계와의 간담회’를 통해 조선해양산업의 시장변화에 대한 전략을 논의했다.

먼저 조선해양기자재 포럼에서는 조선해양산업의 전망을 조명하고 국내 기자재산업계의 대응방향을 모색했다. 또한 내년부터 적용되는 IMO(국제해사기구)의 해양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그린기자재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석제 JP Morgan 전문위원은 ‘조선해양산업의 전망 및 기자재산업의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어 김만응 한국선급 신성장산업본부장이 ‘세계 환경규제로 인한 조선해양 기자재업계의 대응방향’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남기만 지경부 주력산업정책관은 이날 포럼에서 "전세계적인 상선분야 발주 감소와 국제 환경규제의 강화로 LNG선,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종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향후 에너지 수요에 따른 발주 확대의 산업 트렌드를 활용한 그린쉽, 해양플랜트 등 진출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후 개최된 간담회에선 상선시장 발주규모 축소에 따른 일감 부족, 해양플랜트 등 신규 시장의 진출 노력에서 발생하는 업계의 애로사항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이 자리에 참석한 남 국장은 "그린쉽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중소조선 및 중소기자재 기업의 특화선종에 대한 기술개발, 마케팅 지원 등을 계속하겠다"면서 "향후 석유공사·가스공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조선해양산업의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지경부측은 해양플랜트 시장 확대라는 산업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올 12월부터 해양플랜트 설계 및 용접 전문인력 교육과정을 개설·운영 추진하고 있다. 해양플랜트 설계교육은 조선협회가 주관으로 올해부터 내년까지 총 808명의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양플랜트 특수용접 교육은 목포 폴리텍대학에서 350명 교육을 목표로 별도 진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