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용산역세권 극적 부도 모면했지만… 앞길은 가시밭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3-12 18: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ABCP이자 59억 기한 앞두고 납입하게 돼<br/>앞으로 갚을 이자 수백억, 정부 지원도 힘들어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벼랑 끝까지 몰렸던 ‘단군 이후 최대 개발사업’ 용산국제업무지구개발(이하 용산역세권)이 극적으로 부도 위기에서 벗어났다.

용산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이하 드림허브)가 12일 금융이자 59억원을 갚으면서 사실상 채무불이행(디폴트) 처지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드림허브는 이날 만기가 돌아온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이자 59억원을 납입하게 됐다. 납입금은 코레일의 지급보증으로 대한토지신탁으로부터 받은 손해배상 승소금 64억원으로 충당한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이날 "드림허브 자산관리위탁회사(AMC)와 대한토지신탁(대토신)과의 회의에서 대토신이 64억원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당초 드림허브는 우정사업본부를 대상으로 용산 부지 무단 사용에 대한 손해배상금을 내라고 소송을 걸어 승소, 380억원(이자 포함 442억원)을 받기로 돼 있었다. 잔액이 9억원가량인 드림허브는 이 돈을 통해 만기가 도래하는 이자를 막을 예정이었다.

우정사업본부는 신탁업무를 맡던 대한토지신탁(이하 대토신)에 257억원을 우선 지급했다. 하지만 우정사업본부가 항소에 나서면서 대토신은 이 금액을 드림허브에 지급하지 않았다. 항소에서 우정사업본부가 승리하고 용산역세권이 부도가 나게 될 때 위험부담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드림허브측에 지급보증을 요구하고 나섰다.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코레일은 우정사업본부로부터 받기로 한 금액 중 지분율(25%)만큼인 64억원을 지급보증하기로 해 한숨 돌렸지만 대토신이 257억원 전체에 대한 추가 지급보증을 요구하며 자금 지원이 늦어졌었다. 하지만 장시간 회의 끝에 결국 64억원을 받기로 한 것이다.

드림허브가 금융이자를 갚게 되면 용산역세권은 디폴트 상태에서 벗어난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아직 은행에 이자 59억원을 납입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은행 관행상 기한이 지나도 다음날 오전까지 납입하면 용인되는 만큼 일단 디폴트 상태는 벗어났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설령 이날 자금이 유입돼 금융이자를 갚았다하더라도 14일까지 총 63억원의 금융이자를 더 갚아야 한다. 이 경우 사업 자금 잔액은 불과 10억원만 남는다. 이후 25일과 27일 갚아야 하는 금융비용은 각각 32억원과 122억원에 이른다.

획기적인 대책이 없는 한 사실상 분위기 반전이 불가능한 상황인 것이다. 지난 8일 청약 마감이었던 2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도 코레일과 민간출자사들이 참여하지 않아 무산되면서 추가 자금조달도 물 건너간 상황이다.

코레일은 그동안 수차례의 요구에도 적극적인 출자에 나서지 않은 민간출자사에 대해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코레일 관계자는 또 "코레일이 지급보증한 64억원만 우선 지급해도 되는데 왜 시간을 끄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용산역세권이 부도를 맞게 되면 전체 시장에 미치는 후폭풍은 상당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코레일과 삼성물산 등을 비롯한 민간출자사들이 이미 쏟아부은 돈만 4조원에 달해 이를 수습하는 데 적지 않은 갈등이 불거질 것으로 추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출자사와 코레일 간 사업 무산에 따른 책임소재 소송전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용산역세권 개발구역에 포함됐던 2300여가구 규모의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심각한 재산권 피해도 예상된다. 지난 6년간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없었던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경제적 피해에 따른 손해배상 규모는 수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일부에서는 대주주인 코레일이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코레일은 8조7000억원에 사업부지를 팔았지만 사업이 무산되면 이미 받은 2조7000억원가량을 다시 내놓아야 한다.

용산 개발사업의 경우 다음달 21일까지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도시개발법에 따라 개발구역 자체가 자동 해제될 위기에 놓인다. 드림허브는 기간 내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내부 갈등을 해소하고 유동성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점이 과제다.

용산역세권의 마지막 카드인 정부 지원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민간자본으로 시작한 사업에 국토해양부와 서울시가 개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서승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이날 용산역세권에 대해 "코레일과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예의주시는 하겠지만 개입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