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새 교황 프란치스코>1282년만에 비유럽권 교황 탄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3-14 16: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제266대 교황 아르헨티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 추기경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1200여년만에 비유럽권 교황이 탄생했다.

13일(현지시간) A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서 개최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에서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76) 추기경이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됐다.

교황 선출은 전날 콘클라베가 시작된 후 5번째 투표에서 이뤄졌다.

비유럽권에서 교황이 선출된 것은 지난 731년 시리아 출신의 그레고리오 3세 이후 1282년만이다. 또한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 추기경은 가톨릭 2000년 역사상 처음으로 미주 대륙 출신 교황이 됐다. 1534년 로욜라가 설립한 수도회 예수회에서 배출된 첫 교황이기도 하다.

비유럽권 교황의 탄생은 더 이상 유럽 중심의 가톨릭 교회로는 개혁과 현대화가 어렵다는 인식이 교회 전반에 급속히 확산된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페데리코 롬바르디 교황청 대변인은 이날 새 교황 공식명칭에 대해 “교황 프란치스코”라며 “프란치스코 2세가 나와야 프란치스코 1세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성 베르로 성당의 발코니에서 10만여명의 신도들이 기뻐하는 가운데 축복을 전하는 ‘우르비 엣 오르비(Urbi et Orbi, 바티칸시와 전 세계에게)’를 통해 “좋은 저녁입니다”라며 “여러분의 환영에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새 교황 공식명칭이 ‘교황 프란치스코’로 정해진 것은 새 교황이 앞으로 중세 시대의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모범으로 삼아 청빈하고 겸손한 삶을 살 것임을 나타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1936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이탈리아 출신 철도노동자 가정의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현재 부에노스아이레스 교구 대주교를 맡고 있고 성직 기간 대부분 아르헨티나에서 교회를 돌보는 목자로 있었다.

대주교로 있으면서도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고 음식을 직접 만들뿐만 아니라 대주교 관저가 아닌 단칸방 아파트에서 살 정도로 청빈한 삶을 살아왔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외곽의 빈민가를 자주 방문하고 누구나 그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아르헨티나 가톨릭 교회의 현대화에 기여하고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지속된 아르헨티나 독재를 옹호했다는 가톨릭 교회의 오명을 씻기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14일 전통에 따라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그림이 그려진 시스티나 성당의 제단에서 추기경들과 축하 미사를 집전하는 것으로 사실상 교황으로서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이날 신임 교황은 로마의 성마리아대성당에서 기도한 다음 전임 교황인 베네딕토 16세를 예방할 것으로 전해졌다.

교황 즉위미사는 오는 19일 봉헌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