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사무총장은 지난주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김학의 법무부 차관의 사퇴에 이어 이날 한 후보자가 사퇴를 표명한 상황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앞으로 제도개선은 물론 필요하다면 관계자들에 대한 적절한 조치도 있어야 할 것”이라면서 “그보다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공직 후보자들 스스로 결함이 많다면 공직 제안을 수용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최근 낙마 사례가) 결함을 결함으로 인정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법과 윤리에 둔감한 사람이라면 고위 공직을 감당할 자질이나 능력이 없다고 하는 귀중한 경험과 선례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또 서 사무총장은 민주통합당이 박근혜 정부 한 달을 ‘불통’이었다고 비판한 데 대해선 “혹독한 비판이었지만 잘하라고 하는 채찍으로 달게 받아들이겠다”면서 “그러나 민주당은 박근혜 정부 출범 1개월을 비난하기에 앞서 국회 선진화법을 볼모로 헌법이 보장한 행정부의 행정권 행사를 가로막아온 행태부터 자성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이 세 차례에 걸쳐 회담을 요청했음에도 번번이 거절한 것이 민주당인데 그런 공당이 과연 불통을 비난할 자격이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면서 “어찌됐든 이제라도 여당과 야당의 건강한 협력과 비판, 입법부의 건강한 견제와 감시의 신뢰 기반이 쌓이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 사무총장은 방송사·금융기관 전산망 마비사태와 관련, “악성코드가 발견되는 등 조직적인 공격으로 밝혀져 북한의 소행이 아닌가 하는 의심까지 언급되고 있다”면서 “정부와 금융당국은 안보태세를 확고히 하고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 어떠한 안보 공백도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