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새로 제정된 MI는 산업·통상·자원 기능의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의 산업을 세계의 중심으로 육성해 나가는 실물경제 주무부처라는 뜻을 담고 있다. MI는 대한민국의 상징인 ‘무궁화’를 기본 모티브로, 글로벌 산업을 상징하는 ‘지구’를 중심으로 산업·통상·자원을 상징하는 세 개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는 모양을 표현했다. 산업·통상·자원 기능의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의 산업을 세계의 중심으로 육성해 나가는 실물경제 주무부처라는 의미다.
이번에 공개된 MI는 2개월여의 사전조사, 국내·외 정부부처의 MI 분석을 토대로 3차례에 걸친 TF회의와 내부직원·외부고객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제정됐다.
또 산업통상자원부는 부내외 의견수렴 및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산업부’를 공식약칭으로 사용키로 했다. 넓은 의미에서 산업이 통상·자원 업무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산업’이라는 용어가 국민들에게 익숙하고 국민들이 직관적으로 부처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과 다른 약칭후보(산통부·산통자부)에 비해 어감이 양호하다는 점을 고려했다.
영문약칭은 외신기자클럽, 주요국 상공회의소 및 주한 외국대사관 등의 의견 수렴을 통해 ‘MOTIE’(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영문약칭이 외국대표와의 통상업무에 주로 쓰인다는 점을 감안해 국문명칭의 순서와 달리 통상을 가장 앞에 넣었다. 또한, 국문명칭의 순서에 맞춘 영문약칭인 MOITE, MITE가 국제사회에서 많이 쓰이는 영어·불어에서 부정적 어감을 가진다는 점도 고려했다.
현판식 행사는 국민의례, 현판제막, 부기(部旗)공개 및 산업통상자원부 MI 설명, 국정운영 실천 다짐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현판식 종료 후 산업통상자원부가 창조경제의 핵심부처가 될 수 있도록 전직원이 함께 노력하자는 의미에서, 조직의 화합과 융성한 발전을 뜻하는 오색떡을 장·차관이 직접 직원에게 나눠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