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전체 예산집행의 70%를 상반기에 배분한 상황에서 올해 추경예산 편성이 불발로 끝나면 하반기 중 GDP 성장률이 0.4%포인트 내려갈 수 있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재정정책 기조(GDP의 2.2% 재정흑자 목표)는 2003년 이래 가장 긴축적이라며 이 점이 앞으로 경제성장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재정 조기집행에도 실물지표가 가시적 회복세를 보이지 않는 것은 내수가 상당히 약하다는 의미"라며 재정지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재정지출을 확대할 분야로는 고용창출과 사회복지를 꼽았다. 다만, 금융·부동산 시장이 동반회복되지 않는 한 재정지출 확대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한국의 공공부채가 다른 나라보다 적은 수준인데다 물가 역시 안정적"이라며 추경예산 편성이 재정건전성 악화·경기 과열에 이를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