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6일 최근 방송사와 금융기관 등에서 발생한 지능형 지속 위협 공격(APT)과 관련해 주요정보통신 기반시설의 보호강화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김동연 국무조정실장은 "사이버테러는 언제 어디서도 예고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일어나게 되면그 피해규모는 엄청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번 3.20 APT 공격을 계기로 각 부처가 경각심을 가지고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
또한 사이버 테러에 대비해 정보보호의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인력, 인프라, 제도정비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를 다시 개최해 대응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특히 3.20 APT 공격과 관련해 국민 불안이 불필요하게 확산되어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처별로 각별히 대처해 나가는 동시에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정보보호 업무가 안전행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된 만큼 업무공백이 없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 실장은 "선제적 예방조치로서 정보보호대책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민간부문의 기반시설은 미래부 중심으로, 공공부문의 기반시설은 국정원 중심으로 대처하고 상황발생 시 즉시 보고체계를 유지하며 관련정보는 상호공유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이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해 긴밀히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