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날 국가정보통신망에서 지자체로 연결된 장비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장애가 발생해 경기·인천· 강원·전남·전북·광주·제주 등 7개 지자체 인터넷망이 마비됐다가 1시간 20여분 만에 모두 복구됐다고 밝혔다.
지자체 인터넷망은 40여분 만인 오전 11시 22분쯤에 정상작동을 시작했고 전남의 경우는 1시간 20여분 만인 12시 4분쯤에 복구됐다.
서울시는 안전행정부에서 제공하는 국가정보통신망 회선과 인터넷 사업자 회선으로 나눠져 있어 인터넷망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최근 언론사와 금융권의 전산망 해킹 사건이 있은 터라 또 다시 해킹을 당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김우한 센터장은 "국가정보통신망에서 지자체로 연결된 업무망은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인터넷망에 연결된 장비 트래픽에 이상이 생기면서 잠깐 장애를 일으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자체 인터넷망 마비사태가 벌어진 후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가전산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방송·통신·금융 등 주요 민간시설에 대해서는 총체적인 안전 점검을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사이버테러 대응조직이 국가정보원, 경찰청 등 여러 부처로 분산돼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며 "중요한 국가안보 사안인 만큼 국가안보실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열린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 회의를 주재한 김동연 국무조정실장도 "사이버테러는 언제 어디에서도 예고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일어나게 되면그 피해규모는 엄청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번 3월 20일(언론사·금융권 해킹사건) 지능형 지속 위협 공격(APT)을 계기로 각 부처가 경각심을 가지고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
김 실장은 아울러 "선제적 예방조치로서 정보보호대책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에 있어 민간부문은 미래부가, 공공부분은 국정원이 중심이 되어 사이버테러에 선제적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전산망 장애가 있었던 YTN과 계열사 홈페이지는 지자체 인터넷망 장애와는 무관한 내부 시스템 장애인 것으로 밝혀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