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권 가계대출 연체율은 한 달 전보다 0.05%포인트 오른 1.04%를 기록했다.
이는 2006년 10월(1.07%) 이후 6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에도 8월과 10월 두 차례 1.01%를 기록해 1%를 넘었다.
가계대출 잔액 459조5000억원 가운데 312조원으로 비중이 가장 큰 주택담보대출은 연체율이 0.02%포인트 오른 0.96%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006년 8월 1.03%를 기록한 뒤로 1%를 넘은 적이 없다.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집단대출은 0.01%포인트 오른 1.99%로 2%에 육박했다. 집단대출은 아파트 분양자들이 중도금과 이주비 등을 집단으로 빌리는 것으로, 2010년 12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높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일반 부동산담보대출, 예금담보대출 등의 연체율도 1.21%로 한 달 전보다 0.1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속되는 경기 불황의 여파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국민행복기금 등 새 정부의 연체 채무자 구제 대책이 영향을 준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기업대출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잔액이 꾸준히 늘었다. 중소기업대출은 1월과 2월에 3조2000억원과 3조7000억원씩 늘어 잔액이 468조2000억원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45%로 1월 말보다 0.11%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2.68%), 부동산·임대업(2.10%), 조선업(1.90%) 등의 연체율이 여전히 높았으며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은 6.66%에 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차주에 대해서는 만기연장 및 장기분할상환 등 프리워크아웃을 유도하고, 대외 충격 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부실채권의 조기 정리를 독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