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봉 금감원 부원장보는 11일 브리핑에서 "지난 10일 발생한 농협 인터넷뱅킹 서비스 장애는 외부 해킹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10일 오후 6시20분경 농협 인터넷뱅킹 데이터베이스(DB) 서버장애로 농협은행 및 농협 생·손보 인터넷서비스가 오후 9시45분까지 3시간 25분간 중단된 바 있다. 당시 인터넷뱅킹, 스마트폰뱅킹, 인터넷보험서비스 등이 중단됐지만 DB서버의 고장부품 교체 후 정상 가동됐다.
김 부원장보는 "DB서버의 주요 부품 고장에 의한 것으로, 외부 해킹에 의한 장애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 3월20일 발생한 전산장애는 외부에서 악성코드가 침투했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처럼 농협에서 전산장애가 자주 발생하자 금감원은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관련자를 징계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금감원은 3월27일부터 농협은행 및 농협 생·손보를 대상으로 법규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3일부터는 농협중앙회를 검사대상에 포함시켰으며, 10일 발생한 인터넷서비스 장애와 관련해서도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 부원장보는 "검사결과 사고와 관련해 위법·부당행위가 확인될 경우 경영진 등 감독자들을 엄중하게 조치하겠다"며 "신 회장을 비롯한 모든 경영진이 징계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감원은 농협의 취약한 정보통신(IT) 지배구조 및 운영체제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전산시스템 전환계획을 원활히 추진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현재 농협중앙회가 농협금융지주 및 산하 자회사의 전산시스템을 위탁·운영하고 있다. 김 부원장보는 "최종적으로 2015년 2월까지 전산시스템 전환을 완료하도록 돼 있는 농협은행 등에 대해 전환계획을 원활하게 추진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산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산장애 개선대책을 세워 시행하고, 주기적으로 점검받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농협 측과 맺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