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5/15/20130515000055_0.jpg)
안랩은 최근 보안 패치를 실시하지 않은 PC에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P2P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PC를 감염시켜 온라인 게임 계정을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핵(OnlineGameHack)악성코드가 발견됐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이번 악성코드는 PC를 감염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된 파일들 중에 하나가 특정 P2P 사이트에서 탈취한 실제 인증서로 서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악성코드가 인증서를 탈취해 믿을 수 있는 서비스로 자신을 위장한 것이다.
안랩측은 인증서 서명을 악용할 경우 백신의 탐지도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악성코드는 백신의 동작을 멈추는 기능과 감염 PC의 고유주소인 맥주소(MAC address), 운영체제 정보 등을 전송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안랩의 V3는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 및 치료하고 있다.
압랩은 이 악성코드의 피해를 막으려면 자바, 플래시플레이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사용하고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보안 패치를 모두 적용하는 것이 필수라고 조언한다. 또한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으로 유지하고 실시간 감시 기능을 켜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의 이호웅 센터장은 “PC가 웹사이트를 방문만 해도 감염될 수 있고, 디지털서명을 탈취해 자신을 안전한 서비스로 위장해 사용자가 알기가 매우 힘들다”며 “사용자들은 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보안 업데이트를 철저히 하고 안전이 확인된 사이트만을 방문하는 것과 함께 백신 업데이트를 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수칙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