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창조경제 밑바탕 다져지나…R&D서비스 적자 규모, 31개월만에 최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5-20 16: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최근 우리나라의 R&D(연구개발)서비스 수지의 적자폭이 약 3년만에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정부와 재계가 R&D투자를 대폭 강화하기로 하면서 향후 R&D서비스부문도 날개를 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R&D서비스수지는 477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0년 8월(-3440만 달러) 이후 2년 7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3월과 견주면 무려 51.6%나 떨어졌다.

한은에 따르면 이 통계에 잡히는 R&D서비스산업은 주로 전자공학이나 약학, 생명공학 등의 기초연구나 응용연구를 지원해주는 서비스업의 일종이다. 제조업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인문학, 사회학의 연구개발활동까지 지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R&D서비스수지는 항상 적자였다.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정보력과 연구개발서비스 기업의 영세성 등이 원인이다.

그런데 지난해 3분기 4억650만 달러 적자 이후 4분기 3억2580만 달러, 올해 1분기 2억3850만 달러로 이 수지는 점차 적자폭을 줄이고 있다. 올해만 보더라도 1월 1억3100만 달러이던 적자폭은 2월 5980만 달러로 절반 이상 몸집이 줄었다.

외국의 기업들로부터 국내 R&D서비스 위탁을 받아 벌어들인 수입이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3월 현재 R&D서비스 수입은 7220만 달러로 지난 2009년 1월(8180만 달러) 이후 4년여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현재 수치는 긍정적이지만 아직까지 R&D서비스업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보기는 이르다.

외부에 맡긴 서비스의 비용 등을 의미하는 R&D서비스 지급은 3월 기준으로 1억1990만 달러로 전월보다 2500만 달러 증가했다. 국내의 R&D서비스 전문기업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R&D투자를 늘리려다보니, 외부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 지급액은 지난 2011년부터 줄곧 1~2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이달 중 서비스산업발전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여기에는 R&D서비스업에 대한 세제·예산지원도 있다. 창조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제조업 못지않게 서비스업도 풍부한 인프라가 마련돼야 한다는 판단에서 지원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산업연구원의 박문수 연구위원은 “연구개발서비스업이 활성화될 경우, R&D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급인력의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