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국가의 부진이 계속 이어질 경우 하반기 경제성장을 노리는 한국도 성장률 상승에 발목을 잡힐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우리나라 수출·입에 중요한 요충지인 만큼 경제 불확실성은 정부의 경제운용 방향을 어렵게 만드는 사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모건스탠리 등 해외투자은행(IB) 10여곳은 지난해 말 중국의 올해 국민총생산(GDP) 성장률을 8.1%로 내다봤다. 그러나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예상치는 0.3%포인트 낮춘 7.8%로 하향조정했다.
이는 중국의 성장세 둔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7.7%로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수출과 투자는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낭비성 재정지출 억제·반부패 청책, 식품 위생 우려 등으로 소비 부진이 성장세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중국은 향후 통화완화 효과 가시화, 도시화 추진에 따른 투자 확대 등으로 완만한 회복 흐름이 예상된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예상보다 낮은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부동산 시장 규제 등 회복 제약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 올해 초 엔화 약세를 표방한 아베노믹스가 사실상 실패하면서 한국경제의 하방 위험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엔저 현상이 오는 7월 일본에서 열리는 참의원 선거를 기점으로 정상화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 수출 기업들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면서 엔화의 향방이 한국경제의 하반기 경제성장의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커졌다.
더구나 아베노믹스 실패가 엔저를 가속화시켜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에 치명상을 입힐 수도 있다는 견해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 상황은 우리 경제와도 밀접한 만큼 흐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하반기 경제정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