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외교·안보 측면에서도 중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함은 물론, 특히 북한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데 그 역할이 크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는 “이날 첫 번째 안건인 ‘한중 FTA 6차 협상 대응 방안’은 후속조치 중에서도 그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현안”이라며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간 한·중 FTA 협상 진전에 대한 공감대가 재확인된다면 이를 모멘텀 삼아 집중적인 협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이번 정상회담에서 경제·문화·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의 합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 부총리는 중소기업의 FTA 활용 촉진을 위한 종합 대책과 관련해선 “FTA 활용지원 대책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비가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한·미, 한·EU FTA 발효를 계기로 기업의 FTA 활용을 돕기 위한 지원책을 실시했으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여전히 FTA 원산지 관리의 어려움과 전문인력 부족 등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 부총리는 “지원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 입장에서 기업의 어려움을 세심히 들여다보고 정부의 지원 역량도 키워야 한다”며 “이번 대책이 중소기업의 ‘FTA 네비게이션’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에서는 점검·보완에 나서달라”고 협조를 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