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회는 시범단지 농업인과 선도농업인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규암면 부여두리 이성구(우량종자생산자 대표)포장과 충화면 만지리 신승길(유기벼 생산대표)포장에서 친환경 고품질 쌀 생산기술 핵심 실천과제 평가와 시범사업별 추진사항을 관찰했다.
또한, 농업인이 선호하는 새누리벼 등 우량종자 생산과 유기벼 재배 확대 보급 시범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벼 생육상황을 비교 평가하여 금후 대책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는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고품질 부여 쌀 생산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평가 됐다.
센터 작물환경 담당은 “현재까지 벼 생육은 비교적 좋은 편이나 장마기에 벼가 연약하게 웃자라거나 비료를 많이 준 포장은 도복되지 않도록 반드시 어린 이삭이 생기는 시기에 맞추어 이삭거름을 적량만 주고 출수기를 전후하여 이삭도열병 등 병해충 방제와 물관리를 잘 하도록 당부하며, 금후 태풍 등 기상재해만 없으면 최고품질 부여 굿뜨래 쌀 생산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