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헌 및 사회서비스 제공, 사회문제해결 위한 R&D기술 개발, 청년창업가 혁신사업, 중견사회적기업의 검증된 사업모델 확산 등 기업은 우선 지원대상이다.
이들 기업은 올해 12월까지 발전단계나 업종특성에 따라 △A유형 사업인프라구축 △B유형 사업정착 △C유형 사업 활성화 등 3가지로 구분해 맞춤지원을 받는다.
시는 아쉽게 선정되지 못한 기업들의 사업내용 보완과 지속적인 추진을 돕기 위해 다양한 컨설팅 및 IT지원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이다.
정진우 시 사회적경제과장은 "사업개발비 지원으로 (예비)사회적기업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자립기반이 형성되길 바란다"며 "이들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하반기부터 간접지원 비율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