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일, 중·일 간 외교적 마찰이 심한 상황에서 3국 협력사무국 차원에서의 역할은 어떤 것일까? 이런 가운데 이와타니 사무총장이 지난 10일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한 이후 중국도 방문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 달 남짓한 서울 생활의 소회와 최근 행보, 앞으로 TCS의 역할에 대해 들어봤다.
-최근 한·중·일 간 외교적 갈등이 있어 TCS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는데 본인의 생각은.
"아프리카 등에서 근무를 많이 해서 한국 생활은 비교적 적응이 쉽다. 현재 집과 사무실을 왕복하는 생활을 하고 있지만 틈나는 대로 못 가본 곳을 다니며 한국에 대해 더 깊게 알고 싶다. TCS는 기본적으로 모든 분야의 현안에 대해 문제점을 없애고 협력을 다지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아세안과도 좋은 관계를 맺고 동아시아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적이고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현재 3국 간 외교적 상황이 좋지 않다.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간격을 좁힐 수 있는 논의는 없었나?
"일·중, 한·중 관계 둘 다 어려운 문제가 있고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근본적으로 서로 경계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경계감을 줄이는 데 3국 협력이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세안+3 회의에서) 큰 프레임은 아세안끼리 적극적으로 협력하자는 발언이 있었지만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표면화되지 않았다. 중국 방문 시에는 3국 모두가 공통적으로 3국 협력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방문에서 3국 간 정상회담이나 외교장관 회담 등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나? 가능성을 어떻게 보는가?
"먼저 아세안+3 정상회담에서는 일정이 바빠 회담 관련 이야기를 나눌 시간은 없었고 중국도 여러 가지 조언을 구하러 간 것이지만 기본적으로 (사무총장 취임 후) 인사차 간 것이라 관련 논의는 없었다. 한·중·일 간 정상회담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누구도 긍정적인 전망의 이야기는 없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말한 사람은 없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집단적 자위권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일본인 사무총장으로서 어떻게 생각하나.
"외무성을 떠난 사람으로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지만, 경험에 비추어 말하자면 일본은 방위정책을 바꿀 필요가 있고 인접국들도 이해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은 알다시피 세계 3위 경제대국으로서 평화유지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은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PKO 평화유지 활동을 위한 일본의 역할이 있다. 헌법구조가 있어 여러 가지 해외 활동에 제약이 있어 이런 논의가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도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해 헌법 자체를 바꿀 것인가, 아니면 헌법의 해석을 바꿀 것인가의 문제부터 자위권 행사 자체를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아직 논의가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