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이직, 전략이 필요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20 09: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이직 시 준비해야 할 것은 신입 때와는 다르다. 막연한 가능성이 아닌 업무 경험과 실적, 포트폴리오 등 발자취를 바탕으로 승부를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직장 내 인간관계, 태도 등 평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경 써야 한다. 20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420개사를 대상으로 '경력직 채용 평가'를 주제로 조사한 결과를 소개했다.

◆ 경력사항 어필은 '노련하게'

이직 시 가장 경쟁력이 될 요소는 당연히 경력사항일 것이다. 실제로 경력 채용 전형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경력기술서'(30.2%)를 첫 번째로 꼽았고, '실무면접'(28.1%), '인성면접'(17.9%), '이력서'(14.5%), '성과 포트폴리오'(3.3%), '자기소개서'(3.3%)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그렇다면, 경력의 어떤 부분을 어필해야 할까? 기업이 경력 채용 시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경력관련 사항을 조사한 결과, '전문/능숙수준'이 46.2%로 1위를 차지했다. 현업에서 바로 실적을 낼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기 때문. 계속해서 '프로젝트 등 실무 경험'(27.9%), '다양한 경험 보유'(13.6%), '경력연차'(4.3%), '실적수준'(2.6%), '전 직장 수준, 네임 밸류'(2.6%) 등의 답변이 있었다.

◆ 근속연수도 관리해야

이직도 때가 있는 법. 특히 이직 경험이 많다면 더욱 그렇다. 무려 82.4%의 기업에서 지원자의 근속연수가 짧거나 이직이 잦을 경우 감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짧은 근속연수의 기준은 46.5%가 '1년 이하'를 선택했고, '2년'(36.7%), '3년 이상'(16.8%) 순이었다.

잦은 이직 경험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이유로는 '쉽게 이직할 것 같아서'(57.8%, 복수응답), '책임감이 낮을 것 같아서'(40.8%), '인내심이 없을 것 같아서'(26.9%), '애사심이 없을 것 같아서'(15.3%), '조건을 따질 것 같아서'(9.2%) 등을 들었다.

실제로 75.4%는 역량이 우수하더라도 근속연수가 짧은 것을 이유로 탈락시킨 지원자가 있다고 밝혔다. 또 가장 선호하는 경력연차는 '3년차'(40%), '5년차'(27.9%), '2년차'(11.4%), '4년차'(8.6%) 등의 순으로 응답해, 평균 4년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 평판조회에 주의해야

이전 직장을 상대로 하는 평판조회에도 대비해야 한다. 기업 10곳 중 3곳(31%)에서 경력 채용 시 평판조회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성향 등 면접만으로 알기 힘든 게 있어서'(66.9%, 복수응답), '기재사항을 검증할 수 있어서'(31.5%), '다양한 모습을 파악할 수 있어서'(16.2%), '조직문화에 맞는 인재를 선발할 수 있어서'(14.6%) 등이 있었다.

평판조회는 전 직장의 '직속 상사'와 '인사담당자'(각각 35.4%, 복수응답)에게 한다는 응답이 주를 이뤘으며, '팀 동료'(32.3%), 'CEO, 임원'(20%) 등도 있었다. 이때는 '근무태도'(58.5%, 복수응답), '이직사유'(46.2%), '인성, 인격'(43.8%), '대인관계, 사회성'(36.9%), '성격 및 성향'(34.6%) 등 인성적 측면을 주로 확인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지원자를 탈락시키게 될까? 가장 많은 51.5%(복수응답)가 '인격적 갈등을 일으킨 것이 확인될 때'라고 답했으며, '거짓말을 한 것이 있을 때'(46.2%)가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업무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될 때'(40.8%), '퇴사사유를 납득할 수 없을 때'(29.2%) 등의 순으로 답했다.

◆ 이런 경력자는 탈락 1순위

뽑고 싶지 않은 경력직 지원자 유형 1위는 '능력에 비해 높은 연봉 등 요구하는 유형'(40.5%)이 차지했다.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 시 본인의 능력을 인정받아 연봉 인상을 꿈꾸지만, 그만큼 기업에서 기대하는 부분이 많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또, 실력 없이 요구사항만 앞섰다가는 기업에서도 원치 않는다는 점을 명심할 것.

다음으로 '문제를 일으킨 적 있는 트러블메이커 유형'(21.4%), '경력 및 성과를 부풀리는 유형'(13.1%), '전 직장 상사 등에 불만 표출하는 유형'(7.4%), '본인 커리어의 목적, 방향이 불분명한 유형'(6.7%), '능력만 믿고 회사에 대해 파악 못한 유형'(5.2%) 등이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