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중궈신원왕]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 가금업계가 보건당국의 H7N9형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 정보 공개로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5일 중국 신화망(新華網) 등 중국 언론매체에 따르면 중국 광둥(廣東)성을 비롯한 여러 지역 가금류업계가 최근 보건당국이 H7N9형 AI관련 환자와 사망자 등 감염 정보를 과도하게 공개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광둥성 대표적인 농업기업인 광둥원스(溫氏)식품그룹의 원펑청(溫鵬程) 이사장은 치사율이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폐결핵 등 다른 법정전염병보다 낮은데도 불구하고 유독 AI에 대해 비상한 조치를 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조류독감이 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성급 정부는 관련 소식 및 감염자와 사망자 추이 등을 수시로 공개하고 있다. 저장(浙江)성 보건당국은 이날 4명의 추가 감염환자가 발생했다며 감염자의 성별 및 나이, 거주지 등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했고, 광둥성 보건당국도 지난 2일 신종 AI 통계를 발표하며 5일 연속 사망자가 나왔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달 말 중국 국가위생·계획생육(가족계획)위원회가 신종 AI 확산 방지 대책을 밝히면서 성급 정부는 수시로 감염자와 사망자를 발표하고 전국 단위 통계는 매월 정기적으로 공개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업계의 반발 움직임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난 2002~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를 언급, 관련 정보를 숨길 경우 더욱 큰 위험요소로 변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나날이 확산되고 있는 신종 AI 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이러스 확산 방지 및 신속한 대처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가금류 시장 폐쇄 등 업계의 피해를 동반하는 각종 조치가 신종 AI 확산 방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당국이 업계의 손실 보전이나 보조금 지급 등 지원책 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이날 세계보건기구(WHO)도 기온이 낮은 동절기가 이어지면서 중국에서 조류독감 환자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정부의 관리감독 및 방역작업을 더욱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