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오전 경남 창원상의 3층 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용만 통상국내대책관(가운데), 하승철 경상남도 경제통상본부장(왼쪽 첫 번째), 김예중 창원상의 상근부회장(오른쪽 첫 번째)이 FTA원산지 제3자 확인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제공=창원상의)
경남 창원상공회의소(회장 최충경) 경남FTA활용지원센터는 19일 오전 11시 창원상의 3층 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조용만 통상국내대책관, 하승철 경상남도 경제통상본부장, 김예중 창원상의 상근부회장, 기업체 임직원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FTA 원산지확인서 제3자 확인제도’ 지원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했다.
FTA원산지 제3자 확인이란 공신력과 전문성을 갖춘 제3의 기관(경남지역FTA활용지원센터)이 협력사가 수출자에게 제공하는 원산지확인서의 적합성을 검토ㆍ확인하고, 확인기관 명의의 확인 결과서를 무료로 발급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전국의 16개 지역FTA활용지원 센터는 올 2월부터 원산지 확인 발금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경남, 부산, 인천, 대구, 광주, 경기(남), 충남, 경북 등 8개 FTA활용지원 지역센터는 2월부터 사업을 시행하고, 나머지 대전, 울산, 전북, 경기(북), 강원, 충북, 전남, 제주 등 8개 지역센터는 준비과정을 거쳐 하반기(7월부터)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앞으로 이 사업이 본격 시행되면 지금까지 원산지 확인에 어려움을 겪어온 업체들은 전문가의 도움으로 보다 정확한 원산지 판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수출자의 과도한 검증 요구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수출기업은 수출품에 대한 원산지 판정의 불확실성 감소로 원산지 사후검증에 대한 위험 관리가 가능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FTA 상생협력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남도는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해 원산지 확인과 원산지 증명서 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영세 기업에 전문관세사가 현장을 직접 방문해 검증하는 ‘원산지확인 검증 컨설팅 사업’을 2013년부터 자체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이미 이 사업을 통해 89개사 120회의 컨설팅을 실시해 호응을 얻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