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식통은 이날 "북한이 작년 3월 TV 영상과 사진을 통해 공개한 자폭형 무인타격기의 작전 반경은 600∼800㎞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며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넣을 수 있는 공격 능력을 갖춘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북한이 이 무인타격기를 상당수 실전 배치한 것으로 드러나 군 당국이 유사시 이를 요격하는 무기 확보 등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공개한 이 무인타격기는 길이 5.8m, 폭 5.6m로 최대 속력은 시속 400㎞에 이를 것으로 평가됐다. 엔진은 KN-02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같은 고체 연료 추진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무인타격기의 비행과 공격방식은 순항(크루즈)미사일과 흡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공개한 무인타격기는 사전에 기체 항법장치에 지상 좌표를 입력하고 그 좌표를 따라 항로 비행하는 방식으로 보인다"며 "입력된 지상 좌표까지 날아가 충돌해 자폭하는 공격기"라고 설명했다.
순항미사일은 목표물까지의 지형을 인공위성을 이용해 입체 촬영해 항법장치에 입력하면 미사일이 날아가면서 사전에 입력된 지형과 자동으로 대조하면서 궤도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비행한다.
지상 좌표와 지형 사진을 입력하는 것은 차이가 있지만 사전에 타격 대상 정보를 입력하고 비행한다는 점에서는 흡사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소식통은 "북한은 자폭형 무인타격기 일부를 실전 배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2010∼2011년 시리아로 추정되는 중동 국가에서 미국산 고속표적기인 '스트리커(MQM-107D)' 여러 대를 도입해 무인타격기로 개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속표적기는 유도탄의 시험 발사 때 공중 목표물로 활용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