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소송] 해외 담배소송 사례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10 10: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10일 대법원은 흡연 피해자들이 담배로 인한 암 발병을 주장하며 담배회사에 보상을 요구한 ‘담배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담배소송과 관련한 대법원 판단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확정 판결은 지난 1999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담배소송이 제기된 지 15년 만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제기된 담배소송은 총 4건으로 모두 원고 측이 패소했다. 이 가운데 1건은 항소 포기로 원고 패소 판결이 확정됐으며, 다른 1건은 고등법원에 계류 중이다.

이와는 별개로 박재갑 전 국립암센터 원장 등 9명이 2012년 담배사업법이 국민의 보건권과 생명권, 행복추구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침해한다며 세계 처음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해 진행 중이다.

해외에서는 1950년대부터 담배소송이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1954년부터 1992년까지 40년간 800건의 소송이 진행됐으나 단 한 건도 원고가 최종 승소한 사례는 없었다.

하지만 상황이 반전됐다. 1994년 미국의 미시시피주를 시작으로 1997년까지 50개 주가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치료비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청구소송을 제기했다. 긴 법정 공방 끝에 양측은 재판상 화해의 효력이 있는 합의에 도달했다. 그 결과 담배회사는 25년간 주정부에 2060억 달러를 배상하게 됐다. 이를 두고 담배업계는 합의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사실상 담배회사 패소로 보는 의견이 많다.

1994년 플로리다주는 담배 등 위해물 제조업체에 대한 의료비용 배상청구권을 주정부에 주는 법률을 제정하고, 1997년 연방 대법원으로부터 합헌 판결을 이끌어냈다.

개인이 제기한 담배소송에서도 승소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2001년 플로리다주 대법원은 흡연 피해자가 담배회사인 브라운앤드윌리엄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109만 달러 배상 판결을 내렸다. 2005년 캘리포니아주대법원과 미국연방대법원도 담배회사 필립모리스에 흡연 피해자에게 1050만 달러를 지급하라고 선고했다.

캐나다는 1997년 주정부에 담배소송 권한을 줬다. 흡연과 질병의 인과관계 입증 없이도 통계만으로 담배회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법이 제정돼 2005년 연방 대법원의 합헌 판결을 받았다.

주정부 차원의 담배소송은 2001년 시작됐다. 당시 브리티시컬럼비아주가 담배 회사에 의료비 반환청구소송을 냈으며 이어 온타리오주, 앨버타주 등이 동참했다. 지난해 5월 온타리오주가 500억 달러를 요구한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 밖에 호주에서는 2002년 폐암 피해자가 승소한 사례가 있고, 브라질에서는 1997년 흡연 사망자 가족이 담배회사 배상을 받아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