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소말리아 해적 여전히 위험 수준"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전세계적인 해적퇴치 노력에도 소말리아 해적은 여전히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가 27일 발표한 '1분기 해적피해 발생 동향보고'에 따르면 해적 공격은 2011년 1분기 142건을 정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지만 총이나 칼로 무장한 해적은 지난해 59%에서 63%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3월까지 발생한 해적사고중 총기류 사용이 28%(14건), 도검류 사용은 35%(17건)으로 집계되는 등 무기사용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인명피해는 선원 인질이나 납치 위주로 진행됐다. 선원들의 피해현황은 1분기 총 52명으로 인질과 납치가 48명, 부상은 1명으로 나타났다.

해적은 높은 석방금을 노리고 화학제품운반선(13척), 산적화물선(9척), 유조선(7척), 컨테이너(5척) 등을 주공격대상으로 삼았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인도네시아 18건, 싱가포르해협 5건, 방글라데시 4건 등으로 나타났고 서아프리카 해역은 나이지리아 6건, 콩고 3건 등 12건을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우리 선박들의 안전운항을 위해 국제연합(UN) 산하 해적기구,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 국제기구의 활동을 적극 돕고 관련 규정을 수정할 예정이다.

최명범 해수부 항해지원과장은 “청해부대 파견기한을 연장하고 위험해역 통항선박을 24시간 감시하겠다"며 "무장 보안요원 승선 등 ‘(가칭)대한민국 선박 등에 대한 해적행위의 예방과 대응에 관한 법률’을 올해 안으로 제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