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지난 2012년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2012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전년대비 260만tCO2eq 늘어난(0.4%) 6억8830만tCO2eq(이산화탄소 환산기준)이라고 3일 밝혔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제가 시작된 201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2011년에 비해 대폭 둔화된 것. 이는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최초 이행, 액화천연가스(LNG) 사용 비중 증가에 따라 전력배출계수 개선, 유가상승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분야별로 보면 에너지 분야가 2011년 5.1%에서 2012년 0.4%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산업공정 분야는 2011년 –1.4%에서 2012년 –0.8%로 감소세를 유지했다.
2012년 분야별 배출비중은 에너지 분야 87.2%, 산업공정 7.4%, 농업 3.2%, 폐기물 2.2% 등을 기록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2012년 배출량 증가세가 둔화된 이유는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과 함께 산업계의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결과"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