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디스, 라일락, 한라산 등 현재 적자 판매 중인 제품 역시 서민층 배려 차원에서 동일한 수준만 인상할 계획이다.
KT&G는 대폭적인 가격인상에 따른 판매량 하락으로 수익 감소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국가정책에 대해 적극 협조하고 서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하여 최소 수준으로 인상을 결정했다.
국내 시장점유율 2위인 필립모리스 역시 말보로와 팔리아먼트 등 현재 갑당 2천700원인 주력 제품 가격을 각각 2000원 인상해 4700원에 판매할 계획이다.
초슬림 제품인 오아시스는 인상폭이 2000원 미만으로 결정됐다.
한편, 정부 발표에 따르면 담배 가격이 갑당 2000원씩 오를 경우 판매량은 약 34%가 하락하며, 이에 따라 국내 4개 담배회사들의 매출은 연간 약 9400억 원 감소가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