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의 복합리조트 사업계획 공모 시한이 27일로 다가온 가운데, 사업 선정자인 롯데그룹이 복합리조트부지 사용권 확보를 위한 부산항만공사의 사업자 공모에 불참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는 내부 검토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에 마감기한까지 사업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사실 롯데그룹의 불참이 확실시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일부에서는 부산시가 무리한 사업계획으로 민간투자 유치를 하다가 사업자에게 휘둘리면서 결국 사업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실제, 문화체육관광부의 전국 복합리조트 콘셉트 제안공모에서 선정된 롯데자산개발은 사업부지인 북항 해양문화지구 랜드마크 부지 11만4000㎡를 임차해 사용하겠다며 그동안 부산시 및 부산항만공사와 협의를 해왔다.
항만공사는 애초 이 부지를 매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가 부산시의 복합 리조트 유치에 협조하기 위해 임대로 방침을 바꾼 바 있다.
그러나 부산항만공사는 롯데 측이 27일 전까지 사업에 응모하면 적격 여부를 검토하겠다며 길을 열어놓았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측된다.
롯데는 그동안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외국인 투자를 물색해왔지만 여의치 않았다. 정부가 복합리조트 사업 희망자에 대해 5억 달러 이상의 외국자본을 유치하도록 한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결국 사업 여부는 롯데그룹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롯데가 나서지 않으면 부산시의 북항 재개발 핵심인 복합리조트 사업은 무산된다.
부산항만공사 우예종 사장은 “복합리조트사업의 참여자가 없어 북항재개발 사업의 조기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절호의 기회를 놓쳐 아쉽지만, 향후 문화체육관광부의 복합리조트 사업자 선정 추이와 함께 기 수립되어 있는 북항재개발 지역 내 해양문화지구 랜드마크부지 활용방안에 따라 국제공모 등을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해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 등 복합리조트 사업 공모를 통해 부산, 경남, 인천, 전남 등 9곳을 1차 개발사업 후보지로 선정했다. 오는 27일까지 이 지역들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을 공모한 뒤 60일 이내에 2곳을 최종 사업지와 사업자로 확정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